본문 바로가기
개발과 기술

[serverless] serverless 프레임워크 AWS 설정하기 1

by growd 2020. 5. 13.

최근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이 극대화되고 잘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Amazon Web Service같은 서비스들을 많이 사용 하십니다. 그리고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최대 장점인 serverless환경(serverless 프레임워크가 아닌 serverless 환경)의 사용도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serverless 컴퓨팅의 최대 장점은 서버가 항상 돌고 있지 않아도 되는 환경에서 서버사이드 코드가 클라우드 서비스에 저장되어있고 서버사이드에 특정한 요청이 필요할 때만 해당 코드가 클라우드 특정 서버에 마운트되어 실행되고 다시 내려오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인프라를 최대한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는 인프라를 최대한 아낄 수 있고 사용자는 서버에 들어가는 비용을 최대한 아낄 수 있는 Win-Win의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형태를 Amazon Web Service에서는 AWS Labmda라고 부릅니다. 원하는 코드를 저장해 놓고 요청이 필요할때만 처리해 주는 형태의 서비스 입니다. 한 달에 1,000,000건의 요청과 특정 실행시간과 용량의 처리량이 무료로 제공되며 그 이후로는 건강돠 용량/처리량을 계산해서 과금하는 형태입니다. 요청이 많지는 않으나 꾸준하게 필요한 서비스에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AWS Lambda는 하나의 함수가 약 1000개의 요청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끔까지 자동으로 Scale out되어 상당한 규모까지 신경쓰지 않고 하나의 코드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매우 막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AWS Lambda는 초보자들이 사용하기에 꽤 불편 혹은 불친절한 느낌이 존재합니다. 이를 쉽게 도와주는 것이 serverless 프레임 워크 입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에 대한 자세한 글은 다음에 소개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erverless를 개발/배포할때 로컬에서 필요한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 설정
aws 로그인

AWS에 접속하고 로그인합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 설정
IAM 서비스 찾기

IAM서비스를 서비스 찾기에 검색하고 찾아서 클릭합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 설정
사용자 추가하기

좌측의 사용자를 클릭하고 사용자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 설정
사용자 추가 설정

 

사용자 이름을 넣고 프로그래밍 방식 액세스를 체크하여 줍니다.

다음:권한 버튼을 클릭합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 설정
사용자 정책 설정

기존 정책 직접 연결을 클릭합니다.

검색 필터에 AdministratorAccess를 찾아서 체크합니다.

다음:태그 버튼을 클릭합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 설정
사용자에 태그 추가

원하는 태그를 넣어줍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 설정
사용자 만들기

사용자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serverless 프레임워크 설정
액세스 키/비밀 액세스키

.csv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액세스 키와 비밀 액세스 키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혹은 액세스 키ID를 따로 저장하고 비밀 액세스 키를 보기 버튼을 눌러서 저장 할 수 있습니다. 이 기회만이 유일하게 액세스 키와 비밀 액세스 키를 저장할 수 있는 기회이니 그냥 넘어가서도 안되고 해당 정보를 잘 유지해야 합니다. 물론 이것을 잃어버리면 새로운 사용자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다음 단계는 다음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

https://growd.tistory.com/83

 

[serverless] serverless 프레임워크 AWS 설정하기 2

serverless 프레임워크 AWS 설정하기 2 이 포스팅을 읽기 전에 읽어야 하는 포스팅 https://growd.tistory.com/79 [serverless] serverless 프레임워크 AWS 설정하기 1 최근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이 극대화..

growd.tistory.com

 


추천 포스팅

https://growd.tistory.com/77

 

[Docker] ports와 expose의 차이

개발, 배포, 운영에 큰 장점이 있는 가상화/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인 도커(docker)는 그 이점들이 있기 때문에 최근 많이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도커를 사용함에 있어서 초보자들에게 매우 헷갈��

growd.tistory.com

https://growd.tistory.com/65

 

당첨자 더 많이 뽑는다는 연금복권720

당첨자 더 많이 뽑고 더 온라인화 되는 연금복권 720 그동안 연금복권 520이라고 불리던 연금복권이 새롭게 바뀐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전에 왜 "연금복권 520"이라고 부르는지 아시나요? 520 오백��

growd.tistory.com

 

 

 

댓글